나의 언어 생활
/e/ vs /æ/의 차이 (feat. 전설 평순 모음) 본문
비원어민 화자는 자신들의 언어지식으로 그 외국어를 다시 구성하게 되어있다고 한다. 내 귀에는 그것이 그렇게 들리더라도 명확한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말이다. 외국인들한테 방, 빵, 팡 3가지를 들려주면 그들 귀에는 모두 똑같은 단어로 들린다고 한다.
영어로 의사소통이 그래도 어느정도 되었다고 생각했을때, 깨달았던 나의 오만함과 영어라는 큰 벽이 다시 다가오는 주였다. 앞으로 국제음성기호와 다양한 억양을 통해서 영어공부를 더 확실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. 앞으로 시간이 날 때마다 정리하러 와야겠다.
처음으로! 중학교때 공부 많이 안해놓은 나를 자책하며...
전설 평순 중고모음 e , 전설 평순 근저모음 æ의 차이
일단 용어 설명을 하자, 원순과 평순(혹은 비원순)은 입을 오므리냐의 차이이다.
전설과 후설 그 외 근후설 근전설 등등, 이 설이 의미하는 바는 혀의 기울기이다.
전설 모음은 한국어에서의 /ㅣ, ㅔ, ㅐ, ㅟ, ㅚ/이다. 모두 혀의 최고점이 입의 앞에 위치해 있기에 '전'설이라고 한다.
후설 모음은 /ㅡ, ㅓ, ㅏ, ㅜ, ㅗ/로 혀의 최고점이 입의 뒤에 있을 때이다.
자! 헷갈리는 점, 자 전설 중저모음 둘다 혀를 가르키지만 전설/후설은 그 혀 상태에서의 최고점이 어디인지이며
중저모음, 고모음 등은 혀 자체의 높이를 말한다.
중학교때 국어시간에 집중하지 않았던 나로선 이 말을 듣는 내내 무슨 소리인지 감이 안잡혔다. 사실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이유도 나에게 다시 복습하는 의미이며 이 과정도 학습으로 삼는다.
전설 평순 고모음 /i/ 는 한국어의 /ㅣ/와 같다.
후설 평순 고모음과 후설 원순 고모음은 각각 /ㅡ/와 /ㅜ/이다.
앞으로 더 할 얘기니까 전설과 후설의 차이는 이와 같이 마무리 짓고
이제 본격적으로 전설 평순 중고모음과 전설 평순 근저모음을 비교해보자.
전설임으로 혀의 기울기 중 최고점은 입의 앞쪽에 있다. 둘 모두 평순임으로 입을 오므리지 않는다.
차이는 그렇다면 혀 자체의 높이가 다르다고 이해하자.
그렇다면 차례대로 그라데이션처럼 혀의 높이로 발음을 해보자
1. 전설 평순 저모음 /a/ (혀의 높이가 가장 낮음)
/a/인데, 영어의 일부 방언들의 hat이 이 발음을 낸다고 한다. 다음 발음을 참고하자.
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b/bc/En-uk-hat.ogg
2. 전설 평순 근저모음 /æ/
영어의 cat이 이 발음이 난다.
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4/46/En-us-cat.ogg
3. 전설 평순 중저모음 /ɛ/
한국어의 매미가 이 발음이다! 매미를 한번 해보고 그 조음감으로 발음해보면 큰 도움이 될 것 같다.
또한 영어 발음의 일부 bed가 이 발음이 난다.
upload.wikimedia.org/wikipedia/commons/1/14/En-us-bed.ogg
몇 번 발음을 해보면 이 두 발음의 혀 높이의 차이를 알 수 있을 것 같다.
좀 더 위로 올려보는 발음들을 살펴보자면...
4. 전설 평순 중모음 /e̞/
몇몇 사투리와 영국 Received Pronounciation의 let이 이 발음이 나며, 한국어도 ㅔ와 ㅐ가 구분되어지지 않고 있지만 주로 한국인들의 ㅔ를 이 발음으로 한다고 한다. 일단 내가의 /ㅐ/가 이 발음.
5. 전설 평순 중고모음 /e/
원칙상 한국어의 /ㅔ/가 이 발음이라고 한다. 메아리의 /ㅔ/가 이 발음이다. 영어의 may가 대표적인 발음
그외 근전설 평순 근고모음이 있지만 완전한 전설이 아니여서 여기선 생략했다. sit,fit,bit등이 대표적인 것 같다.
6. 전설 평순 고모음 /i/
한국어의 /ㅣ/ 발음이며, 아이할 때 아이를 대표적인 발음으로 표기해두었다. 영어로는 free가 모든 억양에서 /i/소리를 낸다고 한다.
자 그럼 이 단어들을 비교해보고 맞추도록 하자.
1. expend /ɪkˈspend/ vs expand /ɪkˈspænd/
2. send /send/ vs sand /sænd/
3. set /set/ vs sat /sæt/
4. pet /pet/ vs pat /pæt/
완벽하지 않지만 공부하면서 정리했다. 혹시 보시는 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...